에마뉘엘 마크롱(왼쪽부터) 프랑스 대통령, 벤자민 스미스 에어프랑스-KLM그룹 CEO, 필립 파스칼 파리공항공단 회장 겸 CEO, 필립 타바로 프랑스 교통부 장관이 참석한 가운데 에어프랑스-KLM그룹과 파리공항공단이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있다. [에어프랑스 제공] [헤럴드경제=양대근 기자] 에어프랑스-KLM그룹은 최근 프랑스 파리공항공단과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파리 샤를 드 골 공항을 세계적인 항공 허브로 육성하기 위한 커넥트 프랑스 프로젝트를 추진한다고 18일 밝혔다.프랑스는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관광객이 방문하는 국가이지만, 보다 유리한 규제 및 세제 환경을 갖춘 비유럽 국가들의 부상으로 항공 네트워크 허브로서의 위상이 점차 약화되는 추세다. 이에 에어프랑스-KLM그룹과 파리공항공단은 프랑스의 항공 경쟁력 강화 및 글로벌 영향력 확대, 파리 샤를 드 골 공항의 탄소배출 저감 등 공동 목표 달성을 위해 파트너십을 맺게 됐다는 설명이다.양사는 에어프랑스의 허브 공항인 파리 샤를 드 골 공항을 고객 경험, 운영 효율성, 탈탄소화 측면에서 업계 선도 공항으로 도약시키기 위한 다양한 개선 방안을 마련한다. 그 일환으로, 환승 시간이 한 시간 미만인 승객을 대상으로 하는 ‘숏 커넥션 패스’를 올여름 도입할 예정이다. 해당 승객은 전용 통로를 통해 보다 빠르게 보안 검색을 마친 후, 원활하게 연결편에 탑승할 수 있다.장거리 국제선 및 환승객의 편의성을 높이고자 탑승교 직접 탑승 비율도 확대한다. 현재 파리 샤를 드 골 공항의 항공기 접현율은 약 95% 수준이다. 운항 최적화 및 더블 토잉, 2E 터미널 내 주기 공간 확충 등을 통해 2026년까지 유럽 및 중동 지역 최고 수준의 접현율 달성을 목표로 한다.환승 시간 동안 공항 이용 또는 파리 시내 관광을 원하는 승객을 위한 서비스도 강화한다. 먼저, 승객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올해 말 터미널 명칭 변경 계획을 발표하고, 2026년부터 적용에 나선다. 또한 몇 시간에서 수일까지 파리와 일 드 프랑스(Île-de-France) 지역에 머무는 환승객이 문화, 역사, 미식 등 다채로운 프랑스의 매력을 체험할 수 있도록 스탑오버 상품을 법무법인 광장(대표변호사 김상곤)이 세계적인 국제분쟁 전문가들을 초대해 포럼을 개최한다.광장은 오는 23일 서울 중구 광장 신관 1층 아카데미아실에서 국제중재 및 기업범죄 포럼을 개최한다고 18일 밝혔다. 서울 중구 법무법인 광장 사옥에 있는 로고. 법무법인 광장 모든 세션이 영어로 진행될 이번 포럼에는 광장 소속 전문가 외에도 Fountain Court Chambers의 중재인 벤자민 휴즈, Michael Lee Chambers의 창립자인 마이클리 등 세계 각지에서 활약하고 있는 저명한 전문가들이 참석해 각자의 인사이트를 나눌 예정이다. 국제분쟁 분야의 법률전문가 외에도 국내·글로벌 기업의 법무책임자, 정부기관 관계자 등도 다수 참석한다.이번 포럼에서는 광장 국제분쟁그룹장이자 국제중재팀 공동팀장인 박은영 변호사의 개회사에 이어 총 4개의 그랜드 패널 토론 세션이 진행된다.먼저 박 변호사는 '한국 국제중재의 현재와 미래 : 2025년의 분쟁해결 메커니즘 진단과 향후 12개월의 전망'을 주제로 한국 국제분쟁 업계의 발전과 도전 과제를 조망할 예정이다.첫 번째 패널 토론에서는 박 변호사와 함께 광장 국제중재팀 공동팀장을 맡고 있는 잭 샤프 외국변호사가 패널로 참여해 국제중재 실무에서의 협상 전략을 중심으로 논의한다.두 번째 패널 토론에서는 글로벌과 로컬의 경계에 있는 건설 분쟁을 중심으로 손해배상과 공급망 이슈를, 세 번째 패널 토론에서는 한국 및 외국 기업에서 주주, 이사, 이해관계자 간 분쟁사례를 중심으로 사내변호사를 위한 계약 설계 및 분쟁 예방 관련 실무 대응 방안을 모색한다.네 번째 패널 토론에서는 디지털 자산추적, AI 관련 리스크, 글로벌 내부조사 등 최근 수년간 급부상한 기술 관련 쟁점을 폭넓게 조망할 예정이다.이번 포럼을 준비한 광장 국제분쟁그룹은 "이번 포럼은 단순한 중재 트렌드 소개를 넘어 협상스킬, 주주간분쟁에 대한 대응책, 디지털 리스크, 조정절차 등 현대 분쟁 해결의 다층적 요소들을 조망할 기회"라며 "국제중재 및 국제분쟁의 변화에 능동적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