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주)인포스텍
로그인 회원가입
  • 고객지원
  • A/S문의
  • 고객지원

    A/S문의

    코스피,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onion
    댓글 댓글 0건   조회Hit 1회   작성일Date 25-07-16 16:40

    본문

    코스피, 28.90p(0.90%) 내린 3,186.38(장종료) (서울=연합뉴스) 윤동진 기자 = 코스피가 28.90p(0.90%) 내린 3,186.38에 장을 마감한 16일 서울 하나은행 본점 딜링룸에서 딜러들이 업무를 보고 있다. 2025.7.16 mon@yna.co.kr (서울=연합뉴스) 고은지 기자 = 16일 코스피가 미국 물가에 대한 우려와 차익 실현 매물 출회에 끝내 3,200선을 회복하지 못한 채 마감했다.이날 코스피 지수는 전장보다 28.90포인트(0.90%) 내린 3,186.38에 장을 마쳤다.지수는 전장보다 7.80포인트(0.24%) 내린 3,207.48로 출발한 후 장 초반 3,178.42까지 밀려나기도 했다. 점차 낙폭을 줄여가며 장중 한때 3,209.20까지 갔으나 다시 하락세가 깊어지며 3,180선에서 등락하는 모습을 보였다.유가증권시장에서 외국인은 순매도를 이어오다가 장 막판 268억원을 순매수했다. 개인은 4천299억원을 순매수했고 기관은 5천528억원을 순매도했다.코스피200 선물시장에서는 외국인은 4천810억원어치를 순매도했다.이날 오후 3시 30분 현재 서울 외환시장에서 달러 대비 원화 환율은 전장보다 5.5원 오른 1,385.7원에 마감했다.엔비디아 훈풍에도 반도체 대형주는 혼조세를 보였다. 전날 엔비디아는 대중 수출 재개 소식에 주가가 사상 처음 170달러가 넘어섰다. 이에 삼성전자는 전장보다 1.57% 오른 6만4천700원에 거래를 마쳤지만, SK하이닉스는 외국인 매도세가 이어지며 0.84% 내린 29만6천원에 장을 마감했다.대신증권 이경민 연구원은 "미국 물가 우려가 차익 실현을 촉발하면서 코스피가 3,200선을 내줬다"며 "글로벌 투자심리가 약화했다"고 분석했다.전날 발표된 미국 6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관세의 영향이 보다 뚜렷해졌다는 평가가 나온 바 있다.이 연구원은 "앞으로 관세의 물가 반영이 일시적인지, 지속적인지에 대한 심리가 증시를 좌우할 것으로 보인다"며 "오늘 밤 생산자물가지수(PPI)에서 생산자 측면의 물가 영향을 확인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미국의 가상화폐 3법 통과가 제동이 걸리면서 스테이블코인 관련 주는 장 초반 하락했다가 장중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법안에 반대하는 세력들을 설득했다는 소식에 힘입어 급반등했다.쿠콘은 글로벌 스테이블코인 발행사와 협력 가능성까지 전해지며 장중 4만6천55 15일 국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김성환 환경부 장관 후보자가 질의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환경단체와 원전 인근 지역주민, 에너지 전문가들이 “신규 원전 건설이 불가피하다”는 김성환 환경부 장관 후보자의 인사청문회 발언에 대한 일제히 규탄의 목소리를 냈다. ‘탈원전 비판’을 의식해 현실성 없는 ‘원전 확대 정책’을 옹호한 건 환경부 장관으로서 자격이 없다는 것이다.원전 지역주민과 환경단체들로 구성된 탈핵시민행동과 종교환경회의는 16일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재생에너지 전환에 역행하는 ‘원전 부흥 인사’를 환경부 장관으로 임명해서는 안 된다”고 밝혔다.이들은 “윤석열 정부의 ‘원전 최강국 건설’ 시도로 퇴행한 기후와 환경을 회복할 책무가 있는 이재명 정부의 환경장관 후보자가, 신규 원전 건설과 노후 원전 수명연장을 용인하는 발언을 했다”며 “핵발전소의 안전과 방사능 누출 및 핵폐기물로 인한 환경오염을 감시하고 규제해야 할 환경부 수장으로서도 대단히 무책임한 태도”라고 비판했다.단체들은 “‘무탄소 전원’이라며 핵발전을 대폭 확대한 윤석열 정부 3년은 핵폐기물 누적과 재생에너지 축소, 지역 갈등의 심화”로 요약될 수 있다며 “새 정부에 필요한 건 핵발전이 아닌, 방사성폐기물에 대한 책임 있는 처리 계획, 빠른 재생에너지 확대와 분산형 전원체계 구축을 이끌 수 있는 정책 리더십”이라고 강조했다.관련 단체들도 일제히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다. 환경운동연합은 이날 성명을 내 “안전성과 재생에너지와의 공존 문제가 있는 원전을 확대한다는 입장을 밝힌 김 후보자에 대해 기대보다 우려가 크다”며 강한 유감 입장을 밝혔다. 이들은 “부지 선정조차 이뤄지지 않은 신규 원전에 대해 김 후보자가 ‘불가피하다’고 단정한 건 사회적 합의와 공론화, 환경영향평가 등 필수 정책 절차를 무시한 선제적 정당화일 뿐”이라며 “환경장관이라면 신규 원전 건설의 당위성보다 고준위 핵폐기물 처리 방안이나 원전 인근 방사성 오염 관리 체계 등 환경성과 안전성에 대한 정책부터 제시했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환경시민단체인 탈핵시민행동이 지난 4월 서울 종로구 세종문화회관 앞에서 탈원전과 재생에너지를 중심으로 한 에너지 전환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진행 중이다. 환경운동연합 제공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