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주)인포스텍
로그인 회원가입
  • 고객지원
  • A/S문의
  • 고객지원

    A/S문의

    기후환경뉴스 '기후는 말한다'입니다.광주시가 폭염 속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onion
    댓글 댓글 0건   조회Hit 2회   작성일Date 25-07-15 01:32

    본문

    기후환경뉴스 '기후는 말한다'입니다.광주시가 폭염 속에 폐지를 줍는 노인들을 보호하기 위한 사업을 확대 운영합니다.참여 노인들은 8월 한달 동안 오전 10시부터 오후 5시까지 폐지 수집을 중단하는 대신 실내나 그늘에서 재활용품 선별 등 비교적 안전한 업무를 하며 수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 아울러 온열 질환 예방을 위한 차양모자, 차가운 수건 등 보호용품 꾸러미도 지급됩니다.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카카오 '마이뷰',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KBS국립중앙박물관은 용산 개관 20주년 기념 특별전 '새 나라 새 미술: 조선 전기 미술 대전' 연계 학술 행사를 오는 17~18일 개최한다고 14일 밝혔다. '산수도'(조선 16세기 중반). 국립중앙박물관 이번 행사는 특별전 출품작과 조선 전기 미술의 가치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마련했다. 국내외 최고 전문가들이 참여해 그간의 연구 성과와 다양한 시각을 제시할 예정이다.오는 17일 오후 2시 국립중앙박물관 소강당에서는 국외 연구자 초청 강연을 개최한다. 동아시아 회화와 불화를 연구해 온 이타쿠라 마사아키 도쿄대학 교수와 이데 세이노스케 규슈대학 명예 교수가 연단에 오른다.이타쿠라 교수는 동아시아 회화 연구의 권위자로, 일본에 전해지는 조선 회화 작품을 발굴하는 데 크게 이바지해왔다. 이번 강연에서는'조선 전기 산수화 재고-몇 가지의 해후를 계기로'라는 주제로 특별전에 출품된 작품을 포함한 조선 전기 산수화를 심층적으로 소개할 예정이다. 이데 교수는 중세 중국에서 한국, 일본으로 이어지는 불교회화 제작과 유통 연구의 권위자다. 이번 강연에서는 '고려와 명(明), 두 개의 규범-조선 전기 불화의 창성'이라는 주제로 조선 전기 불교미술의 국제적 면모를 조명할 예정이다.오는 18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5시 30분까지 국립중앙박물관 대강당에서 한국미술사학회와 공동주최하는 학술심포지엄 '새 나라, 조선의 미술과 문화'가 개최된다. 국립중앙박물관 이애령 학예연구실장의 기조 발제를 시작으로 국내외 학자들이 준비한 조선 전기 미술사학·역사학 관련 8개의 발표가 이어질 예정이다.학술심포지엄은 3부로 구성됐다. 1부 '여말선초 미술의 연속과 창조'에서는 시대 전환기의 미술 양식을 불교조각, 공예, 회화를 통해 살펴본다. 2부 '조선, 새로운 질서의 미학: 국가 이념과 예술'에서는 조선 건국과 함께 나타난 이념의 변화가 미술과 시각문화에 어떻게 영향을 미쳤는지 건축과 공예, 경전을 중심으로 알아본다. 3부 '성리학적 이상의 시각화'에서는 조선 전기 유교 문화의 성숙과 함께 나타난 미술에서의 변화를 탐구한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