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주)인포스텍
로그인 회원가입
  • 고객지원
  • A/S문의
  • 고객지원

    A/S문의

    몸에 좋은 술 만들기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HELLO
    댓글 댓글 0건   조회Hit 3회   작성일Date 25-04-17 12:34

    본문

    춘약만들기 약주 만드는 병은1 리터 들이 유리병이 좋으며 사용되는 술은 35 도 주정을 기준으로 하면 된다 . 서양 사람들이 마시는 양주는 대부분 좋으며 감미료로써 꿀을 사용하면 좋다 . 약주는 식욕증진을 위한 사람은 식사 전에 복용하면 좋고 소화를 돕기 위해서는 식사 후에 복용하면 좋으며 깊은 잠을 자고 싶은 사람은 취침전에 마시면 좋다. 술을 마시지 못하는 사람은 따뜻한 물이나 주스에 타서 마셔도 약효는 동일하다 . 단미 ( 單味 ) 약주 외에 자신의 건강상태에 따라 적당한 생약을 배합하여복방배합주複方配合酒 ) 를 만들어 사용해도 좋다 . 1. 인삼주 인삼 100g 을 잘게 썰어 소주 1 리터와 함께 섞어 밀봉한 후 서늘한 그늘에 약 30 일 동안 보관한 후 마신다 . 매차 30cc 를 저녁 식사 하기 전에 마시면 좋다 . 또는 잠자기 전에 마셔도 좋다 . 인삼수 ( 人蔘鬚 ) 도 똑같은 효과를 낸다 . 보정 ( 補精 ) 해 주고 싶은 사람은 인삼과 천마(天麻 )와지 부자 ( 地膚子 ) 와 음양곽 ( 淫羊藿 ) 등 4 종의 생약을각각 25g 씩 도합 100g 과 소주 1 리터 속에 넣어 밀봉한 후 서늘한 곳에 30 일 이상 보관한 후마시면 된다 . 2. 원지주 ( 遠志酒 ) 원지 100g 을 잘게 썬 후 35 도 소주 1 리터 속에 집어 넣어 밀봉한 후 서늘한 곳에 20 일 내지 30 일 동안 저장해 둔다 . 매차 소주잔으로 한 잔 ( 약 30cc) 씩 하루 두 차례 아침과 저녁으로 마신다 . 강장보정 효과가 있다 . 폐열 ( 肺熱 ) 과 기관( 氣管 ) 열을 제거시켜 줌과 동시에 담을 제거시켜 주는 작용이 있다 . 3. 천문동주 ( 天門冬酒 ) 약주를 만들 때 자신의 신체 건강상태에 따라 2-3 종의 생약과 함께 배합하여 일반적으로 전체 약량이 100g 춘약만들기 을 초과하지 않게 하는 것이 최상이다 . 천문동 15g 을 잘게 썬 후 소주 1 리터 속에넣고 밀봉한후 서늘한 그늘에 20 일 동안 보관해 둔다 . 매차 30cc 씩 저녁 식사 전에 한 잔 마신다 . 또는 취침전에 마신다 . 손사막의 천금방에 보면 ” 구복천문동주 ( 久服天門冬酒 ),가이자윤오장 ( 可以滋潤五臟 ), 통혈맥 ( 通血脈 ), 병가제오로칠상이방지악질 (幷可除五勞七傷而防止惡疾).” 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 다시 말하면 ” 천문동 약주를 장기간 복용하면 5 장을 자양 ( 滋養 ) 해 주고 혈맥을 통해 주며 오로칠상을 치료해 줄 뿐만 아니라 고치기 어려운 질병을 예방해 준다는 뜻이다 . 또 갈홍 ( 葛洪 ) 의 포박자 ( 抱朴子 ) 에 보면 ” 두자미인상용천문동 이득이주선어십팔개처첩지간( 杜子微因常用天門冬而得以週旋於十八個妻妾之間 ), 득삼백삼십인 ( 得三百三十人 ),일일보행삼백리이약무기사 ( 一日步行三百里而若無其事 ).” 라고 기록되어 있다 . 다시 말하면 ” 두자미란 사람은 천문동을 상복하였기 때문에 열 여덟명의 부인 주위를 맴돌며 상대하여 슬하에 330 명의 자식을 두었다 . 그리고 하루에300 리를 걷고 난 후 아무일도 없었다 .” 는 뜻이다 . 4. 황정주 ( 黃精酒 ) 황정 150g 을 잘게 썰어 꿀을 가미하여 1 리터의 소주병 속에 집어 넣는다 . 밀봉한 후 20 일이 경과하면 마시기 시작한다 . 황정주는 여성에게 유익한 약주이다 . 5. 선령비주 ( 仙靈脾酒 ) 음양곽 ( 淫羊藿 ) 100g 을 먼저 빈병 속에 집어 넣은 후 소주를 붓는다 . 밀봉한 후 서늘한 곳에 저장해 둔다 . 가끔 술병을 흔들어 주면 좋다 . 20 일 후 부터 마시기 시작한다 . 하루에 30cc 내지 70cc 만 마셔야 한다 . 보신장양 ( 補腎壯養 ) 의 효과가 있다 . 양위 ( 陽 ? ) 와 고혈압을 치료해 주고 거담평천 ( 祛痰平喘 ) 작용이 있다 . 6. 지황주 ( 地黃酒 ) 건지황 ( 乾地黃 ) 춘약만들기 150g 을 잘게 썰어 소주 1 리터 속에 집어 넣어 서늘한 곳에 약 20 일 동안 저장해 둔다 . 소주의 색깔이 심홍색 ( 深紅色 ) 으로 울어난다 . 자보 ( 滋補 ), 강장 ( 强壯 ), 보정 ( 補精 ) 해 주며 자고로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상복해 온 약주이다 . 하루에 30cc 내지 70cc 정도 마시는데 신체 상태에 따라 약량을 조절해야 된다 . 또 건지황 100g 과 우슬 ( 牛膝 ) 50g 을 함께 넣어 복방약주 (複方藥酒 ) 를 만들어 마셔도 좋다 . 그외 2-3 종의 강정 ( 强精 ) 생약을 가미해도 좋은데 일반적으로 복방약주를 만들 때는 약물의 총량이 150g 을 초과하면 않되며하루 음주량은 2 잔 내지 3 잔이 좋다 . 7. 여정주 ( 女貞酒 ) 여정자 100g 을 술병 속에 집어 넣은 후 어둡고 서늘한 곳에 약 20 일 동안 보관해 둔다 . 하루에 30cc 내지 50cc 의 술을 저녁 식사 전과 취침 전 두 차례 나누어 마신다 . 보정지효 ( 補精之效 ) 는 자고로 실증 (實證 ) 되었다 . 약주를 만들고 싶은 사람은 육종용 ( 肉 ? 蓉 ) 과 천마 등을 배합하면 좋다 . 이때 사용하는 여정자는 50g 이며 육종용 25g 과 천마 25g 이다 . 8. 구기주 ( 枸杞酒 ) 구기자는 껍질이 비교적 두텁기 때문에 구기자 속에 들어있는 성분이 침출 ( 浸出 ) 하는데 시간이 걸린다 . 그래서 약 두 달 정도 보관해 두어야 한다 . 그러나 구기자를 깨뜨려 사용할 경우엔 1 개월 동안 저장해 두어도 좋다 . 약주의 색깔이 심홍색 ( 深紅色 ) 으로 울어나야 좋다 .하루에 2-3 잔 마시면 된다 . 만일 신선한 구기자를 사용할 경우에 300g 의 구기자를 술병 속에 집어 넣어 2 개월 간 보관해 두어야 한다 춘약만들기 . 복방 약주를 만들 때는 오가피와 계피와 지황과 복분자와 육두구 ( 肉豆구 ) 등을각각 14g 과 구기자 80g 을 배합약주를 만들면 좋다 . 기방양방 ( 奇方良方 ) 에 보면 ” 배합등량적구기여황정 (配合等量的枸杞與黃精 ), 대어보충정력유막대적효과 (對於補充精力有莫大的效果 ), 용법여용량즉여단미시적상동 ( 用法與用量則與單味時的相同 ).” 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 다시 말하면 ” 구기자와 황정을 똑 같은 분량을 사용하여 약주를 만들어 복용하면 정력 보충에 지대한 효과가 있다 . 용량은 구기자 단미를 사용할 때와 같다 는뜻이다 . 9. 오가피주 ( 五加皮酒 ) 오가피 100g 을 잘게 썬 후 소주 1 리터 속에 집어 넣어 밀봉한 후 약 30 일 동안 저장해 두면 담홍색 ( 淡紅色 ) 색깔이 울어난다 . 향기 좋은 쓴맛의 미주가 된다 . 하루에 2-3 잔 마시는데 식사 전에 마시면 식욕이 증진되고 취침 전에 마시면 잠이 잘 온다 . 민간에서 오가피주는 일전쌍조지효(一箭雙鳥之效)가 있다고 말한다 . 다시 말하면 화살 한 개로 두 마리의 새를 잡는다 는 뜻이다 . 이시진의 본초강목에 보면 간단한 오가피복방 약주의 처방이 기록되어 있다 . 즉 오가피50g,당귀20g,우슬 20g,지황 10g으로조성된처방이다 . 10. 홍화주 ( 紅花酒 ) 홍화 ( 紅花 ) 50g 과 25 도 소주 1 리터를 함께 섞어 밀봉한후어둡고 서늘한 곳에 저장해 둔다 . 약주의 색깔이 황홍색 ( 黃紅色 ) 으로 울어날 때 까지 기다린 후에 마시기 시작한다 . 무미무취 ( 無味無臭 ) 함으로 마시기 쉽다 . 부녀자들의 전용으로 피를 깨끗이 해주고 체력을 증강시켜 주며 산전산후 ( 産前産後 ) 의 양약이다 . 하루에 한 잔씩 저녁 식사 전이나 취침 전에 마신다 . 장중경(張仲景)의 금궤요약 ( 金 ? 要略 ) 에 보면 홍화주 ( 紅花酒 ) 를 홍남화주 ( 紅藍花酒 ) 라고 기록해 놓았으며 ” 치부녀육십이종풍 ( 治婦女六十二種風 )” 을 치료해 준다고 기록되어 있다 . 다시 말하면 ” 춘약만들기 홍화주 ( 紅花酒 ) 는 부녀자들의 62 종의풍병을 치료해 준다 .” 는 뜻이다 . 장중경은 홍화주 ( 紅花酒 ) 를 홍남화주 ( 紅藍花酒 ) 라고 칭했는데 홍화가 페르시아 (Persia : 이란의 옛 이름 ) 와 아라비아 지방에서 중국으로 전입되었기 때문에 그 당시엔 홍화 ( 紅花 ) 를 홍남화라고 칭했었다 . 아무런 부작용이 없는 술 맛이 신선한 약주라서 안심하고 부녀자들이 복용해도 좋다 . 11. 상심주 ( 桑 ? 酒 ) 상심자는 오디라고 부르는데 자고로 강장보정약(强壯補精藥) 으로 소문이 났다 . 말린 상심자나 직접 뽕나무에서 딴 상심자를 사용할 수 있다 . 상심자 400g 과 35 도 소주 1 리터를 함께 섞어 설탕을 약간 가미한 후 약 1 개월 동안 저장해 둔다 . 하루에 2-3 잔 아침과 저녁으로 마신다 . 보정 (補精) 에 유효한 약주이다 . 12. 우슬주 ( 牛膝酒 ) 우슬 100g 을 잘게 썰어 소주 1 리터와 함께 섞어 밀봉한 후 20 일 동안 저장해 둔 후 부터 마시기 시작한다 . 하루에 2-3 잔 아침 , 점심 , 저녁으로 나누어 마신다 . 쓴맛이 나는 미주이다 . 이시진은 본초강목에 우슬주의 보정약효 ( 補精藥效 ) 를 ” 가장근골 ( 可壯筋骨 ), 치위비 ( 治 ? 痺 ), 보허손 ( 補虛損 ), 거구학 ( 去久 ? ).” 이라고 찬양했다 . 다시 말하면 ” 우슬주는 근육과 뼈를 튼튼하게 해주고 위비 ( ? 痺 : 팔 다리가 마비되는 병 ) 를 치료해 주며 정력이 없어지고 쇠약해진 사람을 보해 주며 오래된 고치기 어려운 질병을 치료해 준다 .” 는 뜻이다 . 우슬 50g 과 인삼 , 황정 , 토사자 각각 17g 을 함께 섞어 우슬복방약주를 만든다 . 13. 결명주 ( 決明酒 ) 결명자 150g 과 소주 1 리터를 함께 섞어 밀봉한 후 1 춘약만들기 개월 간 저장해 둔다 . 하루에 2-3 잔 아침과 저녁으로 나누어 두 차례 마신다 . 태평성혜방 ( 太平聖惠方 ) 에 보면 결명자 복방 약주의 처방이 수록되어 있다 . 즉 결명자 50g 과 몽형자 ( 夢荊子 ) 100g 과 소주 1 리터를 함께 섞어 밀봉한 후 약 1 개월 동안 저장해 둔 후 부터 마시기 시작한다 . 간장 ( 肝臟 ) 을 강화시켜 주며 명목작용과 보정의 효능이 있다 . 사용법은 결명주와 상동이다 . 14.. 토사주 ( 兎絲酒 ) 100g 의 토사자를 1 리터의 소주 속에 집어 넣어 밀봉한 후 약 30 일 내지 40 일 동안 저장해 둔 후 마시기 시작한다 . 하루에 2-3 잔을 두 차례 나누어 복용한다 . 정력을 증강시켜 주는 약주로 평가가 높다 . 토사자 33g 과 인삼 33g 과 지황 33g 으로 조성된 간단한 복방의 효과는 더욱 높다 . 15. 오미주 ( 五味酒 ) 150g 의 오미자를 소주 1 리터 속에 집어 넣어 밀봉한 후 약 30 일 내지 40 일 동안 저장해 두면 시큼하면서 달콤한 홍색 ( 紅色 ) 의 미주 ( 美酒 ) 가 만들어 진다 . 하루에 2-3 잔을 식사전에 마시면 식욕이 증진되고 취침전에 마시면 수면이 촉진된다 . 여성들에게 가장 적합한 약주이다 . 자고 이래 오미자는 보정의 양약으로 높이 평가받고 있다 . 사실 오미자의 과실의 겉껍질과 살은 달고 시며 씨는 쓰고 매웁고 전체의 맛은 짠맛이다 . 고로 오미자라는 이름을 얻었다 . 16. 복분주 ( 覆盆酒 ) 150g 의 복분자를 소주 1 리터 속에 집어 넣어 밀봉한 후 약 1 개월 동안 저장해 둔 후 마시기 시작한다 . 술맛이 향기롭고 정력을 강화시켜 주는 효능은 옛부터 현재까지 높이 평가받고 있다 . 하루에 2-4 잔을 세 차례 나누어 복용한다 . 집간방 춘약만들기 ( 集簡方 ) 에 보면 ” 양사불기 ( 陽事不起 ), 복분자침주 ( 覆盆子浸酒 ), 초이세절 ( 炒而細切 ), 배이주 ( 配以酒 ), 일일복용삼전 ( 一日服用三錢 : 約十二公分 ), 실제상 ( 實際上 ), 용주전침출성분약주 ( 用酒精浸出成分藥酒 ), 효과경고 ( 效果更高 ).” 라고 기록되어 있다 . 다시 말하면 ” 음경이 발기되지 않아 방사를 할수 없으면 술속에 담그어 놓아 두었던 복분자를 살작 볶아 가늘게 썰어 술과 함께 하루에 3 전 씩 복용한다 . 실제로 복분자의 성분이 스며있는 약주를 복용하면 더욱 효과가 크다 .” 는 뜻이다 . 17. 하수오주 ( 何首烏酒 ) 150g 의 하수오를 잘게 썰어 소주 1 리터 속에 집어 넣어 밀봉한 후 어둡고 서늘한 곳에 약 2 개월 동안 저장해 둔 후 마시기 시작한다 . 하루에 3-4 잔 씩 계속 복용하면 이상적이다 . 공복에 복용하거나 취침전에 부부가 한 잔씩 기울이고 나서 방사를 하면 건강이 증진될 뿐만 아니라 공고한 부부간의 사랑을 갖게 됨으로 일전쌍조지공 ( 一箭雙鳥之功 ) 이 있다 . 고대로 부터 하수오주는 장생불로 약일 뿐만 아니라 회춘보정해 주는 비약 ( 秘藥 ) 으로 높이 평가받고 있다 . 명나라 제 11 대왕 세종 ( 世宗 : 서기 1522 년 ? 서기 1566 년 ) 은 왕위를 계승해 줄 왕자가 없었다 . 도사 ( 道師 ) 소원절 ( 邵元節 ) 진인 ( 眞人 ) 이 처방해 준 칠보미염단 ( 七寶美髥丹 ) 을 복용한 결과 황자가 태어났다 . 칠보미염단은 하수오를 위주로 한 약방이다 . 칠보미염단은 천하에 알려져 강호 ( 江戶 : 에도 ) 시대에 일본에 까지 전래된 처방이다 . 하수오는 단방이나 복방으로 사용되는데 반드시 술속에 침주한 후 꺼내어 햇볕에 말려서 사용하는데 복용시 술과 함께 복용해야 된다 . 왜냐하면 술이 하수오의 약효를 발휘시켜 주기 때문이다 . 하수오 복방 약주는 춘약만들기 당귀 37.5g 과 구기자 37.5g 과 토사자 37.5g 과 하수오 37.5g 으로 조성되어 있다 . 18. 해송주 ( 海松酒 ) 200g 의 해송자를 소주 1 리터 속에 집어 넣어 약 2 개월 동안 밀봉하여 저장해 둔 후 부터 마시기 시작한다 . 하루에 2-4 잔을 3 등분하여 아침 , 점심 , 저녁에 마신다 . 해송자의 보정효과는 유명하다 . 열선전 ( 列仙傳 ) 에 보면 ” 고대에 장수한 사람들과 수 백살 까지 장수한 선인들은 대부분 해송자를 상식한 사람들이다 . 이들은 해송자를 타작한 후 품질이 우수한 크고 좋은 알맹이 만 골라서 술속에 침주하여 만든 약주를 마셨다 .” 고 기록되어 있다 . 19. 종용주 ( ? 蓉酒 ) 150g 의 육종용을 잘게 썰어 소주 1 리터 속에 집어 넣어 밀봉한 후 서늘하고 그늘진 곳에 약 1 개월 동안 저장해 둔 후 부터 마시기 시작한다 . 하루에 2-4 잔을 3 등분 하여 식사전이나 취침전에 복용한다 . 종용주는 자고 이래 유명한 춘약 중 하나이다 . 부부가 매일 함께 종용주를 마시면 원만하고 행복한 성생활을 유지할 수 있다 . 오미자와 산수유와 산약과 복령을 똑같은 양으로 배합하여 150g 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종용복방약주를 만들수 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