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주)인포스텍
로그인 회원가입
  • 고객지원
  • A/S문의
  • 고객지원

    A/S문의

    경찰, 증거인멸 의혹 수사 가속용산 집무실 복도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ajfoooo
    댓글 댓글 0건   조회Hit 4회   작성일Date 25-05-26 21:18

    본문

    경찰, 증거인멸 의혹 수사 가속용산 집무실 복도 등 CCTV 확보한덕수 등 내란 동조 혐의 집중추궁‘비화폰’은 계엄 3일 뒤 기록 삭제유출 방지 의심… 경호처 삭제 무게검찰도 법원에 비화폰 압색 요청경찰이 대통령경호처 비화폰(도·감청 방지 휴대전화) 서버에서 윤석열 전 대통령을 비롯해 홍장원 전 국가정보원 1차장, 김봉식 전 서울경찰청장의 기록이 원격으로 삭제된 정황을 발견하면서 12·3 비상계엄 관련 증거인멸 의혹 수사가 본격화했다. 그동안 한덕수 전 국무총리와 최상목 전 경제부총리, 이상민 전 행정안전부 장관은 “계엄에 반대했다”는 입장을 고수해왔는데 비상계엄 국무회의 당시 폐쇄회로(CC)TV에서 이들의 진술과 배치되는 점이 발견되면서 내란동조 혐의 수사도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왼쪽부터) 한덕수 전 국무총리와 최상목 전 경제부총리, 이상민 전 행정안전부 장관. 연합뉴스 26일 경찰청 국가수사본부 비상계엄 특별수사단에 따르면 대통령 경호처 비화폰 서버는 이틀마다 자동으로 삭제되도록 설정됐다. 특수단은 윤 전 대통령 등의 특수공무집행방해 혐의와 관련해 경호처와 이를 복구하는 과정에서 지난해 12월6일 윤 전 대통령과 홍 전 차장, 김 전 청장의 비화폰 기록이 원격 삭제된 정황을 확인했다. 비화폰의 통화 기록은 관리자에 의해 원격으로 삭제될 수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기록 삭제 이후에는 비화폰 소지자가 휴대전화를 열어도 통화 기록이 나오지 않는 것이다. 당시 홍 전 차장 등이 계엄 당시 상황에 대한 폭로를 이어가던 상황에서 기록이 새나가는 것을 방지하려는 의도로 원격 삭제가 이뤄졌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앞서 김성훈 경호처 차장은 지난해 12월12일 경호처 직원에 비화폰 기록의 원격 삭제를 요구했지만 해당 직원이 “증거인멸의 우려가 있다”고 지시를 이행하지 않은 사실이 드러났다. 실제로는 이에 앞서 이미 삭제가 이뤄진 셈이다. 특수단 관계자는 “아직 누가 어떻게 삭제한 것인지는 수사 중”이라면서도 “비화폰 서버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이 제한적이라 경호처에서 삭제한 것으로 보고 있다”고 했다. 윤석열 전 대통령이 26일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방법원에서 열린 내란 우두머리·직권남용 권리행사 방해 혐의 사건 5차 공판에 출석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내란 관련 비화폰은 경호처와 군이 각각 관리했다. 여인형 전 국군방첩사령관과 이진우 전 수도방위사령관 등이 소지한 비화폰도 기록이 원격 삭제돼 검찰 수사 과정에서 이미 비화폰에 남은 기록이 없었던 것으로 알경찰, 증거인멸 의혹 수사 가속용산 집무실 복도 등 CCTV 확보한덕수 등 내란 동조 혐의 집중추궁‘비화폰’은 계엄 3일 뒤 기록 삭제유출 방지 의심… 경호처 삭제 무게검찰도 법원에 비화폰 압색 요청경찰이 대통령경호처 비화폰(도·감청 방지 휴대전화) 서버에서 윤석열 전 대통령을 비롯해 홍장원 전 국가정보원 1차장, 김봉식 전 서울경찰청장의 기록이 원격으로 삭제된 정황을 발견하면서 12·3 비상계엄 관련 증거인멸 의혹 수사가 본격화했다. 그동안 한덕수 전 국무총리와 최상목 전 경제부총리, 이상민 전 행정안전부 장관은 “계엄에 반대했다”는 입장을 고수해왔는데 비상계엄 국무회의 당시 폐쇄회로(CC)TV에서 이들의 진술과 배치되는 점이 발견되면서 내란동조 혐의 수사도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왼쪽부터) 한덕수 전 국무총리와 최상목 전 경제부총리, 이상민 전 행정안전부 장관. 연합뉴스 26일 경찰청 국가수사본부 비상계엄 특별수사단에 따르면 대통령 경호처 비화폰 서버는 이틀마다 자동으로 삭제되도록 설정됐다. 특수단은 윤 전 대통령 등의 특수공무집행방해 혐의와 관련해 경호처와 이를 복구하는 과정에서 지난해 12월6일 윤 전 대통령과 홍 전 차장, 김 전 청장의 비화폰 기록이 원격 삭제된 정황을 확인했다. 비화폰의 통화 기록은 관리자에 의해 원격으로 삭제될 수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기록 삭제 이후에는 비화폰 소지자가 휴대전화를 열어도 통화 기록이 나오지 않는 것이다. 당시 홍 전 차장 등이 계엄 당시 상황에 대한 폭로를 이어가던 상황에서 기록이 새나가는 것을 방지하려는 의도로 원격 삭제가 이뤄졌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앞서 김성훈 경호처 차장은 지난해 12월12일 경호처 직원에 비화폰 기록의 원격 삭제를 요구했지만 해당 직원이 “증거인멸의 우려가 있다”고 지시를 이행하지 않은 사실이 드러났다. 실제로는 이에 앞서 이미 삭제가 이뤄진 셈이다. 특수단 관계자는 “아직 누가 어떻게 삭제한 것인지는 수사 중”이라면서도 “비화폰 서버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이 제한적이라 경호처에서 삭제한 것으로 보고 있다”고 했다. 윤석열 전 대통령이 26일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방법원에서 열린 내란 우두머리·직권남용 권리행사 방해 혐의 사건 5차 공판에 출석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내란 관련 비화폰은 경호처와 군이 각각 관리했다. 여인형 전 국군방첩사령관과 이진우 전 수도방위사령관 등이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