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주)인포스텍
로그인 회원가입
  • 고객지원
  • A/S문의
  • 고객지원

    A/S문의

    청년 입주 사업가 아트 갤러리지난해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afurojoo
    댓글 댓글 0건   조회Hit 12회   작성일Date 25-06-11 04:55

    본문

    청년 입주 사업가 아트 갤러리지난해 말 동네 카페로 재탄생외관 곳곳 작품 흔적 고스란히청년·시니어 파트너 10여명메뉴 개발·공간 운영 함께해음료도 청년·노년 맞춤 겨냥‘세대 간 문화 플랫폼’ 자리잡아“진장 청년거리 찾는 사람 늘려우리 지역 살리는 게 꿈이에요”청년 이야기를 할 때면 대개 하늘이나 풀잎의 푸릇한 색채를 떠올리게 된다. 지역 청년들의 창업 터전으로 조성된 밀양의 ‘진장 청년거리’에도 환한 쪽빛 벽화들이 곳곳에 가득하다. 고장에서 꿈을 펼치는 젊은이들의 곁에, 인생의 가장 푸른 시기를 살고 있는 어르신들의 카페가 나란히 서 있다. 청년거리 나들목 새파란 벽화 속 이정표가 가리키는 시니어클럽 카페 ‘진장올래’다. 밀양시 삼문동 진장 청년거리의 시니어카페 ‘진장올래’를 운영하는 시니어클럽 김승희(앞줄부터 시계 방향으로) 파트너, 김철오 관장 ,김소현 청년매니저, 허영경 팀장이 카페 마루에 앉아 손을 흔들고 있다. 밀양 진장 청년거리는 진장마을의 빈집들을 재활용해 청년들이 가게를 열 공간을 만든 업사이클링 거리다. 그 복판에 노년의 실버 바리스타들이 꾸려가는 카페가 있다는 말에 이질적인 특별함을 느낄 수 있는 공간이겠거니 싶었다. 섣부른 착각이었다. 화살표를 따라가다 마주한 ‘진장올래’는 따뜻한 감성 한 방울이 섞인 트렌디한 외관으로 다른 청년들의 가게와 형제처럼 어우러졌다.구옥을 개조해 만든 이곳에는 우리네 옛집의 구조가 고스란하다. 대문을 지나면 마당이 나오고, 마당을 지나면 음료를 주문하고 만드는 ‘사랑채’ 격의 손님맞이 공간에 들어설 수 있다. 여기서 쪽문을 열고 한 겹 더 깊이 들어가면 손님들이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안채’ 같은 별관으로 이어진다. 쪽마루와 디딤돌까지 예스러운 면모가 가득한데, 외벽에는 독특한 모양의 미술 작품들이 걸려있다.진장올래가 운영되고 있는 이 건물은 이전까지 또 다른 청년 입주 사업가들의 아트 갤러리로 사용됐다. 카페 기획에 참여한 밀양시니어클럽의 허영경 팀장은 “인테리어 공사 당시 직원들이 외벽에 걸린 작품들을 철거하겠느냐고 물어봤지만, 의미 있는 흔적이라 생각해 그대로 뒀다”고 서산으로 차를 몰았다. 교과서에서 보던 ‘백제의 미소’가 있는 곳. 마애삼존불 앞에서 한참을 서성였고, 개심사로 가 ‘아, 저렇게 살아도 되겠구나’ 하고 생각했다. 닮고 싶은 얼굴이었다. 말은 하는 것이 아니라 ‘참는’ 것이다. 세월이 내게 그렇게 가르쳐 주었다. 할 말을 참고, 참고, 참고, 또 참다가 하고 싶은 백 마디 말 중에 겨우 한마디를 했는데, 지나고 나니 그 한마디 말마저도 괜히 했구나 하고 후회가 됐던 적이 많다. 나는 요즘 새벽마다 걷는다. 나이가 들어 새벽잠이 없어졌기 때문이기도 하고, 운동으로도 하며, 계절이 어떻게 바뀌는지 살피기도 할 겸 겸사겸사다. 어쨌든 걸어서 나쁠 건 없으니까. 6,000보 정도 걸어갔다가, 간 만큼 다시 걸어 돌아온다. 천변의 엄마 오리가 새끼들을 꼬리 뒤에 줄을 세우고 물가를 헤엄치는 것까지 보며 걷다 보면 다리가 아파오는데, 거기 위치한 열병합 발전소의 높이 솟은 굴뚝을 나만의 걷기 반환점의 지표로 삼고 있다. 그곳은 내가 만든 ‘말들의 무덤’이기도 하다. 나는 아픈 다리를 잠시 쉬기도 하면서 흰 수증기가 피어 오르는 굴뚝을 바라본다. 그러면서 내 속에 쌓인 후회와, 원망, 질투의 말들을 수증기와 함께 날려 보낸다. 그렇다고 다 날려 보내지는 않고 딱 글로 쓸 만큼은 남겨 둔다. 어떨 땐 굴뚝을 바라보며 한참을 서 있을 때도 있고, 어떤 날엔 한 번 스윽 바라만 보고 돌아오기도 한다. 아무튼 조금은 가벼워진 마음으로 집으로 와 아침을 먹는다. (좌) 서산 보원사지 법인국사탑 (우) 용현계곡의 맑은 물 그렇게 말을 참고, 참고, 참고, 참으며 사니까 후회가 조금은 덜하다는 걸 알게 됐다. 조금은 더 좋은 표정과 눈매를 가질 수 있다는 것도 알게 됐다. 얼굴과 표정과 눈매는 살아온 세월의 이력이자 지금껏 가졌던 마음의 표상이다. 몇 해 전 서산 여행에서 내가 닮고 싶은 얼굴을 찾아냈는데, 그것은 바로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서산마애삼존불이었다. 정식 명칭은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이다. 백제의 미소 앞에서 풀어지는 마음마애여래삼존상은 백제 후기 작품으로 추정되는데, 큰 암벽 중앙에 높이 2.8미터의 석가여래입상이 있고, 오른쪽에 미륵반가사유상, 왼쪽에 제화갈라보살입상이 있다. 볼에 가득 번진 미소가 너그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