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주)인포스텍
로그인 회원가입
  • 고객지원
  • A/S문의
  • 고객지원

    A/S문의

    박상화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oreo
    댓글 댓글 0건   조회Hit 11회   작성일Date 25-06-11 16:38

    본문

    박상화 유로모니터 책임연구원은 11일 일산 킨텍스에서 진행 중인 '2025 서울국제식품산업대전(서울푸드 2025)'에서 글로벌 기능성 식음료 시장 현황과 전망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유로모니터 제공 [파이낸셜뉴스] "음식을 먹을 때 맛과 원산지보다 이제는 건강과 영양, 더 나아가 삶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능성 식품'이 더 중요해 지고 있다." 박상화 유로모니터 책임연구원은 11일 일산 킨텍스에서 진행 중인 '2025 서울국제식품산업대전(서울푸드 2025)'에서 열린 부대 강연을 통해 이 같이 말했다. 기능성 식품은 코로나19 이후 건강과 면역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시장이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 유로모니터는 2023년 글로벌 건강기능식품 시장 규모가 1334억 달러(182조원)에서 매년 5% 넘게 성장해 2027년 1646억 달러(225조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세계에서 가장 빠른 고령화가 진행 중이라 앞으로는 노인을 위한 기능식품 시장의 성장이 클 전망이다. 박 연구원은 "2040년이 되면 한국의 중위 연령은 54.7세(현재 46.1세), 65세 이상 인구 비율도 전체 34.3%(현재 19.2%) 전세계에서 가장 늙은 국가가 된다"며 "신생아 감소로 한국의 분유 시장은 2010년부터 마이너스 성장중이지만 성인용 요실금 기저귀는 연평균 13.4% 성장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국의 경우 심지어 주식으로 여겨지는 쌀과 라면의 소비도 줄고 있다. '주식'이던 품목의 성장 정체에 따라 양적 성장이 아닌 가치 성장을 위해 기능성 식품은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다. 초고령화 시대에 발맞춰 매일유업은 분유 생산 기술을 활용해 시니어 단백질 제품인 셀렉스를 론칭했다. 앞으로 식품 업계의 과제는 '어디서 무엇을 파느냐'가 아니라 '어떤 기능이 있고 소비자의 삶의 문제를 어떻게 해결 하느냐'에 있냐는 것이 박 연구원의 결론이다. 특히 '건강'의 의미를 단순히 '질병 없음'으로 여기는 게 아니라 국가나 문화권 별로 '좋은 수면', '정신 건강'까지 포함해 인식하는 등 국가별로 건강에 대한 정의가 다른 만큼 맞춤형 기능성 식품 전략이 필요 액상과당이 함유된 음료를 매일 8잔 이상 즐겨 마시던 여성의 충격적인 건강 상태가 공개됐다./사진=채널A ‘줄여주는 비서들’ 캡처 액상과당이 함유된 음료를 매일 8잔 이상 즐겨 마시던 여성의 충격적인 건강 상태가 공개됐다. 11일 방송되는 채널A ‘줄여주는 비서들’에 찾아온 의뢰인은 과거 빅사이즈 모델로 활동을 했다. 하지만, 그를 향한 안 좋은 시선으로 인해 공황장애와 대인기피증을 겪었다. 이로 인한 스트레스로 140kg까지 불어났다고 밝혔다. 그는 한약, 지방흡입 등 다양한 다이어트를 시도했지만 결국 요요현상으로 세 자릿수 몸무게를 탈출하지 못하고 있다고 했다.이어 의뢰인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공개된 일상 영상에서 그의 식습관은 모두를 놀라게 했다. 그는 기상 직후 잠을 깨기 위해 초코 가루 네 스푼을 넣은 아이스 초코에 달달한 꿀떡을 조합해 먹었다. 이후에도 당 섭취는 계속됐다. 쇼핑몰 업무를 보는 도중에도 크림과 시럽이 가득 들어간 달달한 음료를 마셨다. 이에 MC 장성규는 “이 정도면 소변에서 꿀이 나올 것 같다”고 말했다.이후 의뢰인의 몸 상태 분석 결과, 내장지방이 정상 범위의 5~6배를 넘는 충격적인 수치가 나와 충격을 안겼다. 또 고혈압과 당뇨까지 생겼다고 고백했다. 의뢰인이 매일 즐겨 마신 단 음료, 건강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의뢰인이 즐겨 마시는 초코 음료와 같은 단 음료는 비만의 주범이다. 음료가 비만을 유발하는 이유는 ‘액상과당’ 때문이다. 액상과당은 조금만 먹어도 혈당을 금방 높이고, 체내 콜레스테롤 균형을 망가뜨려 혈관 건강에 악영향을 미친다. 액상과당은 설탕보다 구조가 단순해 소화와 흡수가 빠르고, 체지방 전환도 설탕보다 잘 된다. 결국 과도하게 섭취하면 ▲비만해지고 ▲혈액 내 콜레스테롤 균형이 무너지고 ▲혈액 속 당수치가 높아지고 ▲혈관 벽 손상 위험이 커진다. 이렇게 되면 고혈압, 당뇨병, 심장병과 같은 심혈관질환이 잘 생긴다. 실제로 미국 하버드대 연구팀은 당분이 첨가된 음료를 하루 한두 잔 마시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당뇨병에 걸릴 위험이 26%, 대사증후군에 걸릴 위험이 20% 증가한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또 미국 사우스캐롤라이나대 연구에 따르면, 매일 한 잔 이상의 가당 음료를 섭취하는 사람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